Comments on leading and following, playing in tune and together, and rehearsing. Terry B. Ewell and Quintigre (Towson University’s faculty quintet). Bassoon Digital Professor # 81.
관악오중주에서 리드하는 방법과 따라가는 방법, 음고를 함께 맞추며 연주하는 방법과 리허설에 대하여 설명. 테리 이웰과 퀸티그레(타우슨 대학교 교수진들로 구성된 관악오중주) 의해 만들어진 81번째 바순 디지털교수 시리즈.
<music: Nielsen Quintet, first movement>
<음악: Nielsen의 목관오중주 중 1악장>
1. Hello, I am Terry Ewell. Welcome to this first video in this series of videos on performing chamber music in a wind quintet.
1. 안녕하세요, 저는 Terry Ewell이라고 합니다. 관악오중주 실내악 시리즈의 첫 번째 비디오를 통해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2. A wind quintet is sometimes called a woodwind quintet, although generally I prefer the term wind quintet because the French horn or the horn is really a brass instrument.
2. 관악오중주는 가끔 목관오중주라고도 불리우지만, 목관오중주에 속해있는 호른 혹은 프렌치 호른이 금관악기이기 때문에 저는 보통 ‘관악오중주’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고 있습니다.
3. In this video we will be talking about four different aspects of playing chamber music and these [topics] are related to all the instruments in the quintet and not just the bassoon.
3. 이 비디오에서는, 실내악 연주에서 발견되는 네 가지의 요소들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바순뿐만 아니라, 관악오중주에 속해있는 모든 악기들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4. We will be a discussing how to lead and how to follow. We will be looking at starting and ending together, intonation, and rehearsing. So let's get started here.
4. 첫 번째 요소는 어떻게 이끌어가고 또 따라가는지에 대해, 두 번째는 함께 시작하고 끝내는 것에 대해, 세 번째는 인토네이션,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허설입니다. 그럼, 이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5. Now in order for a group of five musicians (or more or less) to work together, there has to be in agreement on who will be leading the group; who will be starting a certain passage.
5. 다섯 명의 연주자들이(혹은 이보다 많거나 적은) 함께 연주하기 위해서는 그 그룹을 누가 이끌 것인지에 대해서 정해야 합니다. 또 연주 할 음악의 특정 부분을 누가 시작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정해야 할 것입니다.
6. Group leadership will often rotate among group members depending upon the music and the demands of the music.
6. 그룹의 리더십은 한 사람으로 제한되지 않고, 연주할 음악의 특성에 따라서 그룹 내에서 돌아가며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7. For instance, take this passage from the sixth variation of the Nielsen Quintet. In this case the flutist is leader.
Nielsen의 관악오중주를 위한 변주곡 6번 중 한 부분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플루티스트가 그룹의 리더 역할을 합니다.
8. You will notice that our flute player, the way in which she leads the musicians, gives a breath and a motion so that we start together. So take a look at that.
8. 플루티스트가 그룹의 다른 연주자들을 리드하는 모습을 보면, 그녀는 숨과 동작을 통해 그룹의 모든 연주자들이 함께 연주를 시작할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그럼, 이 부분을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music: Nielsen, Variation 6>
<음악: Nielsen의 변주곡 6번>
9. You can see that for the group she didn't have to count off "1,2,3" or like that. Instead, the way in which she gestured gave us the tempo and gave us the opportunity to play together.
9. 여러분은 조금 전의 영상을 통해, 플루티스트가 어떻게 다른 연주자들에게 박자를 주고 함께 맞추어서 연주를 하는지에 대해 보셨을 것입니다. 입으로 “하나, 둘, 셋”하며 박자를 세어서 주기보다는, 몸동작을 사용하여 알려주었습니다.
10. So after much rehearsing together, and much of our experience as professionals, we were able place the notes together, how to put it
together, so we started that particular variation simultaneously.
영상에 나온 연주자들의 경우, 수많은 리허설을 통해 함께 연습하며 또 전문적으로 쌓인 합주경험이, 함께 음과 소리를 맞추어 연주 할 수 있도록 그리고 동시에 연주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11. Let's look at that again and look closely at the gestures she gives that make this successful.
11. 그리고 리드하는 연주자의 몸동작이 합주의 성공여부를 최종적으로 좌우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조금 전의 영상을 통해 플루티스트의 몸동작을 유심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music: Nielsen, Variation 6>
<음악: Nielsen의 변주곡 6번>
12. Now, depending on the instrument you play, you will need to gesture in different ways.
연주 중, 몸동작을 통해 다른 연주자들과 소통할 때, 연주하는 악기에 따라 서로 다른 몸동작이 요구됩니다.
13. The bassoon, because I have it anchored with a neck strap or body harness and seat strap, I am not able to raise up and down the instrument.
바순의 경우, 목걸이 또는 스트랩으로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14. So unlike the flute where she can raise up or down the instrument, I way I would gesture is by rotating in this way and breathing.
14.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플룻과는 달리, 바순을 연주하는 저는 이 쪽 방향으로 돌아서 악기로 숨을 내쉬는 것이 저의 몸동작 방법입니다.
15. <note> Giving a motion like that.
15. <한 음을 연주> 대개 이러한 몸동작으로 합니다.
16. <note> Depending on your instrument whether it is a clarinet, or oboe, or horn you will have to gesture in a way that is comfortable, where you can keep your embouchure fixed to your instrument and yet still give that breath and gesture that will make it successful.
<한 음을 연주> 여러분의 악기가 클라리넷이라면 클라리넷에 맞게, 오보에라면 오보에에 맞게, 여러분이 편안하게 몸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때, 마우스피스를 여러분의 악기에 고정시킨 채, 숨을 내쉬며 몸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17. Now in this other variation the clarinetist is the leader and this is a Variation Five.
17. Nielsen의 변주곡 5번의 경우는 클라리네티스트가 그룹을 리드하게 됩니다.
18. In this case I as the bassoonist am watching him for his gestures to start a movement and then again I am following because he is the one setting the tempo. Have a listen to this.
18. 저는 여기서 바수니스트이기 때문에, 클라리네티스트의 몸동작을 잘 보고 악장을 시작해야 하며 그가 연주하는 템포에 맞추어 연주해야 합니다. 그럼, 변주곡 5번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music>
<음악: Nielsen의 변주곡 5번>
19. Now one of the other aspects of leading is internalizing, hearing in your mind, what the tempo will be prior to actually starting.
19. 그룹을 이끄는 연주자에게 있어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음악의 내재화, 즉 음악을 마음으로 들으며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템포를 미리 정해놓는 것입니다.
20. Let me give an example of that. In the opening of the Nielsen the tempo is given by the bassoon. So I'm the leader of this section the other people will have to follow when they enter little later.
20. Nielsen의 변주곡 중 바순에 의해 템포가 정해지는 시작부분을 음악의 내재화의 한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경우, 바수니스트인 제가 그룹의 리더가 되어 템포를 정해 다른 연주자들을 이끌어갑니다.
21. One way I found very effective for setting tempo is thinking of fastest notes and the set the tempo from these notes. For instance, let's look at the passage.
21. 템포를 정할 때 한가지 효과적인 방법은 연주할 음악 중 박자가 가장 빠른 음들을 찾아서 이것을 기준으로 템포를 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의 한가지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22. In measure three I have 16th notes. So if I can imagine in my mind, hear those 16th notes, and set the tempo with the 16th notes, then I will be effective at starting the 8th notes or slower notes in the opening.
22. 세 번째 마디를 보시면 16분음표들이 있습니다. 이 16분음표들을 마음속으로 상상하며 들어보고 템포를 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작부분의 8분음표들이나 그보다 느린 음표들을 효과적으로 연주할 수 있을 것입니다.
23. So I'm thinking first of <music>
23. 처음에는 음악을 생각합니다.
24. Thinking of those 16th notes there...da.da.da.da.... and that gives me the tempo.
24. 그리고 그 다음, 16분음표를 숫자로 세지 마시고 ‘다,다,다…’로 세어서 템포를 정하는 것입니다.
25. <music> That gives me the tempo for the opening. This then is a successful way in which I've had and many others have had for setting tempo.
25. <음악을 연주> 그리고 이것은 시작부분의 템포가 됩니다. 이 방법은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연주자들도 사용하는 성공적인 방법으로 템포를 효과적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music: Opening to the Nielsen Quintet>
<음악: Nielsen의 목관오중주 중 시작부분>
26. Another important aspect of playing chamber music is playing in tune. Let me give you some ideas on playing in tune. Obviously you listen very critically to yourself, to others, and to seek to match pitch.
26. 실내악을 연주함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음고를 맞추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음고를 맞추는 것이란 무엇일까요? 합주하는 동안, 여러분의 연주와 다른 연주자의 연주를 잘 들어보며 서로의 음을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27. That is very good. Sometimes it is very helpful to have referential pitch, and by that I mean a drone or a sounding pitch that you can then match.
27. 음을 맞출 때, 때로는 참고적인 음, 즉 저음을 지속적으로 연주하는 ‘드론’이나 표준음 등을 연주하여 여기에 음을 맞추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28. You can find on 2reed.net some links for droning pitches that you can use.
28. 2reed.net에 가시면 드론에 관한 링크들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9. But the other thing is that you can also have someone in your group to be the drone. For instance, have someone in your group play a sounding pitch and hold it out.
29. 그룹 안의 다른 연주자에게 드론을 연주하게 하여 음을 맞추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연주자에게 표준음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주하게 하는 것입니다.
30. For instance, a "C" and the rest of you come in with other members of the C chord.
30. 더 구체적인 예로 설명 드리자면, 그룹 내에서 연주자 한 명을 정해 “C”음을 연주하게 하고 나머지 연주자들은 C코드를 연주하는 것입니다.
31. The first is playing the drone and the others come in "di off di off di off." So you are practicing your articulation together as well as your pitch together.
31. 연주자 한 명이 드론을 연주하면 나머지 연주자들은 그 드론음의 코드와 쉼표 연주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되면 음을 맞추는 동시에 아티큘레이션 연습도 할 수 있습니다.
32. You can practice this in different octaves. Work on the blend. Listen to how the chords sound. You may--from your music--pick certain chords that are difficult. Just practice those together.
이러한 방법을 다른 옥타브에도 적용하여 다양하게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코드의 소리가 어떤지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혹시 여러분이 연주하는 음악 중, 어려운 코드가 있다면 그 코드로 다른 연주자들과 함께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33. All of that would be helpful for your chamber music.
33. 이러한 모든 연습방법들은 실내악 연주에 도움이 됩니다.
34. Let me conclude with comments about effective rehearsing.
34. 이제 효과적인 리허설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35. The quality of your performances as a group is going to depend on your ability to work together in your rehearsals.
35. 합주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리허설을 할 때, 함께 일하는 것, 즉 팀워크가 중요합니다.
36. The more effective you at rehearsing, conversing with a one another, listening to one another, the better your performances will be.
36. 리허설을 할 때, 서로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연주를 들어보면 리허설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이것은 실제 합주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줍니다.
37. Let me give your some insights into that. If you playing a duet, this is with two of people, it's easier to come to consensus than it is with three people.
37. 만약 여러분이 다른 한 연주자와 듀엣으로 연주를 한다면, 세 명의 연주자보다는 의견의 일치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38. I find by adding a person, exponentially the difficulty of coming to agreement as a group, the group dynamics become far more complex.
38. 이렇듯 그룹에 연주자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의견 일치에 대한 어려움 또한 심해지며 더욱 복잡해집니다.
39. So just keep that in mind. When you have five people, that's a good size group, You have five different personalities and opinions.
이러한 점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그룹의 연주자가 다섯 명이라면, 다섯 개의 다른 성격과 의견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룹으로 함께 연주하기에 좋은 숫자입니다.
40. I encourage you, when you express your opinions to others do so in a way that is not threatening.
40. 다만 주의할 점은, 그룹 안에서 여러분의 의견을 다른 연주자들에게 표현할 때, 강압적으로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41. For instance, let's say we have a [musical] dialog, and I wasn't together with the clarinet and we didn't see "eye to eye," we didn't play together.
41. 예를 들어, 바순을 연주하는 저와 클라리네티스트가 함께 연주하는 부분에서 서로 맞지 않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42. So instead of me saying, "I think you are wrong in this place."
I would instead say: "I wasn't with you in that place." "Could we do that again together?"
42. 그렇다면 상대방에게 어떻게 말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당신이 이 부분을 틀리게 연주했어요.” 라고 하는 것 보다 “저와 당신이 이 부분에서 맞지 않았네요. 다시 한 번 해봐도 될까요?”라고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43. For instance, if we weren't together in pitch and I was so out of tune or someone was out of tune; I would way "I didn't quite match your pitch in that place. Could we try that again?" "Could we try to match the pitch better?"
43. 또 다른 예로는, 만약 저와 다른 연주자가 음이 맞지 않았다면, “이 부분에서 제 음과 당신의 음이 잘 맞지 않았네요. 다시 한 번 해봐도 될까요?” “음을 조금 더 맞춰봐도 될까요?”라고 상대 연주자에게 물어봐야 할 것입니다.
44. Be supportive as a colleague and be appreciative. Be sure that complement others. That goes a long way!
44. 여러분과 함께 연주하는 동료 연주자들을 도와주고 격려해주며 또 감사를 서로 표현하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모습들이 비록 사소해 보이더라도 후에는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됩니다.
45. When somebody does something well, then be sure to express your opinion and tell them how well did. Who knows? They might tell you how well you did as well.
45. 혹시 여러분의 동료 연주자가 잘 한 일들이 있다면, 그 연주자가 얼마나 잘 했는지 반드시 표현해주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이 그랬던 것처럼, 그들도 여러분을 칭찬할 것입니다.
46. And you will find playing chamber music that much more an enjoyable experience. God bless you.
46. 그렇게 되면, 실내악 연주가 여러분에게 훨씬 더 즐거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에게 하나님의 축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