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ys in which to blend with other instruments: vibrato, timbre, and articulation. Terry B. Ewell and Quintigre (Towson University’s faculty quintet). Bassoon Digital Professor # 82.
다른 악기의 소리와 어울리는 방법: 비브라토, 음색, 그리고 아티큘레이션. 테리 이웰과 퀸티그레(타우슨 대학교 교수진들로 구성된 관악오중주)에 의해 만들어진 82번째 바순 디지털교수 시리즈.

번역: 조선

<music: Nielsen Quintet, first movement>
<음악: Nielsen의 목관오중주 중 1악장>

1. Hello, welcome to this video on playing bassoon in a wind quintet. I am Terry Ewell and I welcome you to the second video in this series.
1. 안녕하십니까, '관악오중주에서의 바순연주' 시리즈, 그 두 번째 비디오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저는 테리 율입니다.

2. In this video we will be discussing the unique role the bassoon has in the wind quintet.
2. 이 비디오에서는 관악오중주에서 바순이 맡는 특별한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First, of course, the bassoon is the lowest sounding of the five instruments and therefore usually carries the bass line in the quintet. That is a very important functional role.
3. 그 첫 번째로, 바순은 관악오중주에서 가장 낮은 소리를 내는 악기이기 때문에, 대개는 저음들을 연주합니다. 이것은 바순이 관악오중주의 기능적인 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But in addition to that, and this is what I want to concentrate most on in this video, the bassoon is a bit of a chameleon.
4. 또한 바순은 카멜레온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할 것입니다.

5. It has this ability to blend with the other instruments in unique ways that the other instruments don’t have.
5. 바순은 여러 가지의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여 관악오중주의 다른 악기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데, 다른 악기들은 이것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6. I will talk to you in this video about how to enhance that ability, that ability blend in terms of vibrato, in terms of timbre, and in terms of articulation.
6. 이 비디오에서는 바순의 이러한 카멜레온적인 능력을 비브라토, 음색, 그리고 아티큘레이션과 관련하여 설명할 것입니다.

7. You might say that the bassoon and oboe comprise the majority instrumentation in the wind quintet.
7. 바순과 오보에는 관악오중주의 악기구성에서 주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여러분은 생각할 수 있습니다.

8. There are two double reed instruments in the wind quintet, one single reed instrument, one flute that doesn’t have a reed at all, and there is one brass instrument. There is a sense in which the bassoon is part of the majority.
8. 관악오중주에는 더블리드 악기가 둘, 싱글리드 악기가 하나, 리드가 없는 플루트 하나와, 그리고 금관악기 하나가 있습니다. 바순은 관악오중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9. But the oboe itself has such a unique sound that it doesn’t necessarily blend with the other instruments. However, the bassoon can blend with the oboe.
9. 오보에의 경우는 독특한 음색으로 인해 관악오중주의 다른 악기들과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없으나, 바순과는 어울립니다.

10. There are things you can do on the bassoon to blend with the flute, actually both upper winds. There are things you can do to blend with the clarinet; things you can do to blend with the horn.
10. 바순이 관악오중주의 다른 악기들과 음색을 잘 섞기 위해서는 악기 각각 마다 다른 방법들을 적용하여 연주하여야 합니다. 즉, 호른이라면 호른의 음색에 맞게, 클라리넷이라면 클라리넷의 음색에 맞게, 바순을 연주해야 합니다.

11. Now most important for blending with the clarinet and the horn is the fact that typically they are played without vibrato.
11. 바순이 클라리넷과 호른과의 음색을 맞출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이 두 악기들이 비브라토가 없이 연주된다는 점입니다.

12. So if you as a player want to match them more closely, then you need also to play without vibrato or hold your vibrato to a minimum.
12. 이 같은 경우, 바순 역시 비브라토가 없이 혹은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연주되어야 합니다.

13. Take for instance, the start of the second movement with the clarinet. In this case I am background to the clarinet, the clarinet takes the lead.
13. 클라리넷과 함께 시작하는 Nielsen의 관악오중주 2악장을 한 예로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음악에서는, 클라리넷이 전체적으로 리드를 하며, 바순이 이러한 클라리넷의 연주를 받쳐줍니다.

14. I purposely play with very little vibrato, if at all, so that I am matching the clarinet sound.
14. 여기에서 바순을 연주하는 저는, 비브라토를 의도적으로 매우 약하게 연주하여 클라리넷의 소리에 맞추었습니다.

<music: Nielsen Quintet, II.>
<음악: Nielsen의 관악오중주 2악장>

15. Now you can probably observe even more, in Variation 1 with the horn, how I am trying to match the horn. I minimize my vibrato so I match the sound quality of the horn. Here is Variation 1.
15. 이제는 Nielsen의 변주곡 1번의 3악장을 통해 제가 어떻게 호른과 소리를 맞추는지 보시길 바랍니다. 비브라토를 최소화하여 호른의 소리에 맞추었습니다. 그럼, 변주곡 1번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music: Nielsen Quintet, III, Variation 1>
<음악: Nielsen의 관악오중주 변주곡 1번, 3악장>

16. But I go beyond matching the horn by not using vibrato; I try to match the horn in timbre.
16. 호른의 소리에 더욱 맞추고 싶다면 비브라토를 사용하는 것 보다 호른의 음색에 맞게 소리를 내야합니다.

17. By doing so, I am trying to get as dark a sound on the bassoon as I can—without a lot of reediness to it—but with a full, rich, sound.
17. 이를 위해서, 혀와 입의 뒤쪽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어야 하는데, 이것을 ‘암음’이라고 합니다. 이와 동시에 풍부하며 꽉 찬 소리를 내어야 합니다.

18. The way in which we can adjust to the other instruments is by adjusting the vowel in our mouth. With the horn I use the darker vowel, “ah;” to get a lighter sound I would use the “ee” vowel.
18. 이 방법은, 바순이 다른 악기와 소리를 맞추어 낼 때, 그 악기와 함께 연주하기에 적합한 모음의 발음으로 입 안을 조절하는 것 입니다. 호른에 맞추어 연주할 때는, 암음 모음인 “아-” 발음을 사용하며 이보다 더 가벼운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모음인 “이-“ 발음을 사용합니다.

19. I am not voicing it in my mouth, but I am changing the tongue position. I use the “ee” vowel when I want to blend with the upper winds—flute and oboe.
19. 주의할 것은, 목소리를 사용하여 발음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혀의 위치를 변화시켜 발음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 발음은, 주로 플루트와 오보에처럼 고음을 내는 관악기와 소리를 맞출 때 적합합니다.

20. In addition I make adjustments in the embouchure. I want to bring to your attention an article I wrote that goes into far more detail.
20. 혀의 위치와 더불어 입술의 위치에 대한 조절 또한 필요합니다. 입술의 위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제가 쓴 글들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21. First off, the book is Celebrating Double Reeds. This was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Double Reed Society. I highly recommend the book.
21. 먼저, ‘국제 더블리드 소사이어티’에서 출판한 “Celebrating Double Reeds”라는 책입니다. 이 책은 꼭 읽으시기를 권장합니다.

22. I was editor of the book as well as an author of a couple of articles. The article I want to refer you to deals with the embouchure on the bassoon.
22. 저는 이 책의 편집자이자, 이 책에 실린 몇 가지의 글들의 글쓴이이기도 합니다. 이 몇 가지의 글들 중, 제가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입술의 위치에 관한 것입니다.

23. This for instance, is one of the figures in the presents the bassoon reed and the embouchure positions on the bassoon reed.
23. 예를 들어, 책에 나와 있는 그림을 보시면, 바순 리드와 입술의 위치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24. I don’t have time to go into full detail here, but let me demonstrate here. If we have your bassoon reed and let’s pretend that this is your embouchure.
24. 시간 상, 이것에 대해 길게 설명하기보다는, 직접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바순 리드를 잡고 있는 제 손 끝을 입술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25. The further your embouchure is towards the wire, the more reed material you will have in your mouth, and consequently the more vibration will come from the reed.
25. 입술의 위치가 리드를 감고 있는 줄에 가까워 질수록, 리드가 점차 입 안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리드에서 일어나는 울림 역시 점차 강해집니다.

26. If you want as reedy, as rich, as shawm-like a sound as possible, then you want to have your lips more toward the wire.
26. 만약 풍부한 울림이 있는 소리를 내기 원하신다면, 리드를 감고 있는 줄에 입술을 가까이 대는 것이 좋습니다.

27. As you bring your lips back, it tends to damped the blade more. As a consequence this gives a little bit darker sound: not quite so vibrant in particular.
27. 반대로 입술의 위치를 줄에서 멀리하며 뒤로 빼게 되면, 블레이드의 울림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암음으로 나오는 소리가 더 강해집니다. 

28. Varying your embouchure is very helpful for playing in different dynamic ranges. But I use it a lot for adjusting to the other instruments.
28. 입술의 위치에 따라 강약조절의 범위가 넓어지며 다양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러한 효과보다는 다른 악기들에 소리를 맞추기 위한 효과로 사용합니다.

29. For instance, the oboist in our group has a very sonorous, very vibrant sound and for that reason when I want to blend with the oboe I am putting a little bit more reed in my mouth to blend with her.
29. 예를 들어, 제가 속해 있는 퀸텟의 오보이스트는 울림이 강하며, 잘 울려 퍼지는 소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 오보이스트와 소리를 맞추기 위해 저는 평소보다 리드를 입 안 쪽으로 더 넣어서 연주합니다.  

30. When I want to blend with the horn I want it to be a little less reedy, so I am pulling my embouchure back a little bit and I am changing the vowel in my mouth to more of the “ah” vowel to darken my sound to try to match the horn as best I can. I do all that to try to match the horn.
30. 호른과 함께 소리를 맞추기 위해서는 덜 울리는 소리를 내야 되기 때문에, 입술의 위치를 뒤로 약간 빼야 하며, 또한 입으로 모음 “아-“를 발음하여 암음에 가깝게 만들어야 호른과 최대한 소리를 맞출 수 있습니다.   

31. Now in addition to the timbre differences on the bassoon reed, I also adjust my articulation. It is very easy on the bassoon to articulate rapidly with quite a start to the note, with quite a point to the note.
31. 바순 리드에서 음색을 다양하게 만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아티큘레이션이 있습니다. 바순은 여러 아티큘레이션을 빠르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악기입니다.    

32. When I am performing with the horn, however, I have to adjust my articulation. I want to thank my colleagues in the quintet for helping me re-discover this and work on this further in the context of the Nielsen Quintet.
32. 하지만, 호른의 경우, 아티큘레이션을 조절하기가 힘듭니다. 제가 속해 있는 퀸텟의 동료들의 도움으로 악기들 간의 이러한 차이점을 발견하게 되었음에, 동료들에게 감사를 표하기를 원합니다. 

33. So let me an example of where we as a quintet discussed this, they helped me better match the articulation in the horn. This is in the opening of the third movement.
33. 예를 들어,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는 것을 통해, 제가 호른과 아티큘레이션을 잘 맞출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제 Nielsen의 관악오중주 3악장의 연주를 볼텐덴요, 그전에 몇 가지 알려드릴 것이 있습니다. 

34. If you take the bassoon reed and you tongue right in the middle—the center—you will get a very sharp start to the note. It will be very, well, it will sound like a double reed.
34. 만약 바순 리드에서 정 가운데(중앙)에 텅잉을 하게 되면, 연주할 때 굉장히 날카로운 소리로 음이 시작되며, 더블리드의 소리와 흡사해집니다.

35. What I found is that by tonguing off to a corner, off to the side a little bit, I was able to have a softer, more rounded release to the note. It is better able to match the horn.
35. 여기서 제가 발견한 것은, 만약 텅잉을 정 중앙에서 옆으로 약간 비껴나간 곳에서 하게 되면, 더 부드러운 소리를 낼 수가 있으며, 호른의 소리와 잘 어울리게 됩니다.

36. So let’s see if I was able to match the horn in the opening of the third movement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tone and the start of the release.
36. 자, 그럼 제가 말씀 드렸던 부분을 생각해보시면서, Nielsen의 관악오중주 중 3악장의 시작 부분 연주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music: Nielsen Quintet, III, opening>
<음악: Nielsen의 관악오중주, 3악장, 시작 부분>

37. I hope that you could hear that I was really trying to round out the tone and make for the adjustments there. If you want to have very percussive tonguing on the bassoon then you can tongue right in the center.
37. 방금 전의 영상에서, 제가 소리를 낼 때, 최대한 소리를 둥글게 혹은 부드럽게 내려는 것을 들으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바순에서 부딪치는 듯한 날카로운 소리를 원하신다면, 정 가운데에 텅잉을 하시면 됩니다.

38. Sometimes this is very effective in the low register, a way to pop out notes and to have that percussive tonguing.
38. 만약 낮은 음역대의 음을 두드러지게 연주하길 원하신다면 이러한 텅잉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39. Here is an example of a change in timbre where I lighten my tone, in variation 6, to match the flute.
39. Nielsen의 변주곡 6번에서는 플루트와 소리가 어울려야 하기 때문에, 바순을 연주 할 때 더 가벼운 음색으로 바꿔서 연주해야 합니다.

<music: Nielsen Quintet, III, Variation 6>
<음악: Nielsen의 관악오중주 변주곡 6번, 3악장>

<music: Nielsen Quintet, first movement>
<음악: Nielsen의 관악오중주, 1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