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namentation 5, Practice example: Terry B. Ewell presents a practice
example from Galliard's Second Sonata and critiques five ornamented
versions. Translated byHyunji Choi. Bassoon Digital Professor video
#62, 2reed.net.
장식음 기법 5, 연습용 예문
테리 율이 갈리아드의 두번째 소나타에서 연습용 문제를 소개하고 다섯 개의 장식음 버전을 분석, 평가한 강의
번역. 최현지
바순 디지털 교수 시리즈 #62
<Music from Vivaldi's bassoon concerto "La Notte">
<비발디의 바순 협주곡 중 “라 노떼”>
1. So, this last video will give you a chance to practice ornamentation
and to compare it to
ornamentation that of some of my students and I have done in the past.
What I
suggest you do is start the video, when I tell you to stop the video
(and look at some of the examples there) you should stop it and do some
work. Then return to the video after you've done the work. You will
learn the most by practicing this yourself.
이 마지막 영상에서는 여러분들께 장식음 기법을 직접 사용해 보실 수 있는 기회를 드리고 또한 저와 제 제자들이 예전에 사용했던
장식음 기법들과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합니다. 제가 여러분들에게 이번 영상을 보시는 방법으로 추천 드리는 것은 우선
영상을 보시다가 제가 영상을 잠깐 멈추고 (몇가지 보기를 살펴 보시라고 말씀 드리면) 그 때 영상을 멈추시고 직접 문제를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 하신 후에 영상을 다시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식음을 직접 사용해 보시는 것이야말로 장식음
기법에 대해 가장 많이 공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You can find all these examples on www.2reed.net. I am showing you
the link in this video later. I hope you enjoy it, bye.
연습용 예문들은 www.2reed.net 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의 뒷부분에서 링크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럼
즐겁게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3. Well it is now time to test your knowledge, to see if what you've
learned in the prior four videos on ornamentation will put you in good
stead for this example.
지금은 지난 4개의 영상에서 공부해 보았던 장식음 기법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계신지 또 어떻게 응용하실 수 있는지 직접 경험해
보고 테스트 해 보는 시간입니다.
4. I have a few suggestions here for you, so let's begin. Be sure that
you consider the harmony.
자,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몇 가지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화음을 꼭 고려하셔야 합니다.
5. In the example I give here, the practice example, you have the
harmony I am giving to you
(so you will understand that). But in the future when you ornament
Baroque music you will
need to look at the figure bass or if you have a realization look at
what the editor has provided
for you as the other notes.
지금 살펴 볼 연습문제에서는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가 여러분에게 화음을 제공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바로크
음악에서 장식음을 쓰실 때에는 숫자저음법을 보시거나 편집자가 제공한 숫자저음법 풀이를 살펴 보고 어떤 음들이 쓰여졌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6. Now be sure you think as a composer. Make the ornamentation
interesting. It should be a
beautiful melody. Create a melody that logically lead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egment.
장식음을 사용하실 때 여러분들은 작곡가의 관점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장식음을 흥미롭게 작곡해 보십시오. 장식음을 아름다운
선율로 표현해 보십시오. 장식음을 사용한 선율의 처음과 끝이 논리적이고 매끄럽게 진행되게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7. Make sure it's interesting above all, and captivates your listener.
무엇보다도 사용한 장식음들이 다채롭고 관중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
8. Try out your melody by playing it. It should fit well on your
instrument. You should be
comfortable with it, after all it is your melody. Test it out with a
keyboard instrument also
to make sure that the harmonies work.
자, 그러면 여러분이 쓰신 멜로디를 한번 직접 연주해 보시기 바랍니다. 멜로디는 여러분이 직접 작곡한 것이기 때문에 여러분의
악기의 특성에 잘 맞아야 하고 연주하기에 편안해야 합니다. 건반악기로도 연주를 해 보시고 화음에도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9. Now here's the practice example I have made available for you. You
can get that practice example by going to www.2reed.net/bdp--that's BDP
for bassoon digital professor--and you can see here that we got
"#ornamentation." So it will be on the page, there will be
videos there, but most importantly there will be materials that you can
download that accompany these videos.
이것은 제가 준비한 연습문제입니다. 이 연습문제는 www.2reed.net/bdp 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BDP 의 뜻은
바순 디지털 교수의 약자이고 여기에서 보이듯이 #장식음 기법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 오시면
영상들을 보실 수 있고 무엇보다도 이 영상들과 함께 사용하실 자료들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10. What you find here in the picture below is your assignment. Notice
the rectangle with a red
border around it, that's your assignment. If you look at the notes here
it really isn't very interesting.
이 아래 보이는 악보가 여러분들의 연습문제입니다. 빨간색 테두리 안에 있는 부분이 여러분들의 연습문제입니다. 빨간색 테두리 안에
있는 음들을 보시면 음들이 아주 단조롭습니다.
11. In fact this is sort of a skeleton of a melody, the bones, if you
will. Now you need add flesh
and sinew to this making it a beautiful lyrical line.
마치 선율의 뼈대만 그려 놓은 듯 합니다. 이제 여기에 여러분들이 살을 붙이고 생기를 불어 넣어서 아름답고 서정적인 멜로디를
만드셔야 합니다.
12. So, you'll be working on this assignment. You start the beginning
go to the end and will even
finish on that note [Bb3] there.
이렇게 연습문제를 풀어 보시게 될 텐데 여기 처음에서 시작하시고 끝까지 가서 이 마디의 음(시 플랫) 에서 끝내시면 됩니다.
13. OK let's look at the harmony. Now if you're not familiar with
figure base you wouldn't be able to read this assignment here very
well. We have a G and the bass and there is no number given with it, no
figures. That means it's in root position. So a chord in root position
built on that G is a G major triad. You have a G-B-D as part of that
triad.
자, 그럼 화음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숫자저음법을 읽으시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면 이 연습문제를 할 때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여기 보시면 베이스에 솔이 있는데 아무 숫자저음법이 적혀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 코드의 근음이 가장
아래에 위치해 있다는 뜻입니다. 근음인 솔이 가장 밑에 있는 코드는 G 메이저 3화음입니다. 이 3화음은 솔-시-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 The next chord we find--this is in a measure 14--is a D in the bass
and that chord also is without a figure. Therefore it is in root
position, a D major chord.
14마디에 있는 다음 코드는 레 음정이 베이스에 있는데 이 코드 또한 숫자저음법이 적혀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 코드 역시 D
메이저 코드의 루트 포지션이라는 뜻입니다.
15. All right it is now time to get to work. Be sure you play your
example before you start this video again.
자, 이제 여러분들이 직접 장식음을 사용해 보실 시간입니다. 이 영상을 다시 시청하시기 전에 여러분들이 쓴 선율을 연주해 보시기
바랍니다.
16. Well, how did you do? I hope that was interesting for you and you
had very many creative
ideas working through this problem here, this little melody.
여러분, 어떠셨나요? 이 연습문제에서 짧은 선율을 써 보셨는데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떠오르면서 즐거운 창작의 시간을 가지셨기를
바랍니다.
17. Now what I want to do is download the responses from www.2reed.net
and take a look at those on your instrument or piano. Compare them to
what you wrote. What is it you like about what you wrote? What is it
you like about the responses? What problems do you see in what you
wrote and in the responses?
자, 이제 www.2reed.net에서 가셔서 다른 답안들을 다운로드 받아 보시고 여러분의 악기나 피아노로 연주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 여러분들이 쓴 선율과 비교해 보시고 여러분들이 쓴 선율과 다른 답안의 선율들 중 어떤 점들이 마음에 들고 어떤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18. In a moment I will be commenting on each response, giving you the
ideas that I have found;
but I want to know to study them before you hear my responses so that
you're learning from these.
이제 잠시 후 저와 같이 답안들을 살펴 보고 저의 견해를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하지만 제 의견을 듣기 전에 여러분들은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시는지 생각해 보시는 게 장식음 기법을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될 거라고 여겨집니다.
19. Well this is the first response and frankly it's the most
disappointing of the bunch. Its boring.
There wasn't a lot of originality that when in to it. In this case we
just added a quarter note in
each measure to the notes that were given. It's] very dull, it is not
very inspiring and as such it
should be rejected and something better should be done.
이것이 처음 답안인데 솔직히 말씀 드리자면 제일 실망스러운 답안입니다. 왜냐하면 너무 지루하고 아무 개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각
마디에서 주어진 선율에 4분 음표만 더하였습니다. 너무 심심하고 재미도 없기 때문에 이런 방법보다는 더 흥미로운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 Now let's move onto the next response.
그럼 다음 답안을 살펴 보겠습니다.
21. Well, response number two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response number one. The author of this one has left the first measure
pretty much alone--not a bad idea--and then created
some ornamentation here that really flows in nicely as a line with one
problem, however.
여기에서 보시면 두번째 답안은 첫번째 답안보다 훨씬 흥미롭습니다. 이 답안의 주인은 첫번째 마디에서는 별다른 장식음을 쓰지
않았는데 이런 시작은 괜찮은 시도입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장식음을 써서 음악이 굉장히 잘 이어지게 작업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22. We have a G major harmony in the first measure and probably that
harmony continues to the
second measure. If not, then you need to consider a chord that meets
the D major harmony in
this measure better. The E natural, the leap to the E natural, however,
does not sound like it
fits with the harmony. It really does create a problem in this measure,
so it needs to be revised.
첫번째 마디에서 쓰여진 G 메이저 화음은 두번째 마디로 이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두번째 마디에서 D 메이저
화음과 더 잘 어우러지는 코드를 고려해 봐야 합니다. 이 마디에 쓰여진 미, 즉 미로 떨어지는 선율은 사실 화음과 잘 맞지가
않아서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23. We move to D major here. This measure works quite nicely.
이 부분에서 화음은 D 메이저로 움직이고 이 마디는 선율이 화음과 잘 어우러집니다.
24. But again we have a harmonic problem in this measure going down the
E doesn't seem to
match a D major harmony or does it quite match a harmony that seems to
lead well to the
next measure. So that would need to be revised as well. But there are a
nice ideas here:
The melody flows. There's a mix of steps and skips that look quite
appealing.
하지만 이 부분에서는 화음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미로 떨어지는 선율이 D 메이저 화음과 잘 맞지 않고 다음 마디의 화음과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도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 답안은 좋은 시도들이 많았습니다. 우선 선율이
조화롭게 잘 흘러가며 선율이 순차진행과 도약진행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매력적입니다.
25. OK, let's go on now to response number three.
자, 그럼 세번째 답안을 살펴 보겠습니다.
26. Here we have response number three with many admirable ideas, but
there are few corrections we need to make in this to bring it more into
practice with the Baroque period. Leaving the first measure alone is
just fine. Again, you are changing the other measures, showing
variation after the first measure, that's fine.
세번째 답안도 좋은 아이디어들이 많이 쓰여졌지만 바로크 시대의 연주 기법을 고려해 볼 때 수정할 부분들이 몇 군데 보입니다.
아까도 말했듯이 첫 마디를 간결히 시작하는 것은 좋은 시도입니다. 간결한 시작에 이어 다른 마디들에 장식음을 써서 선율이 점점
변주가 나타나게 표현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27. The leap of the tritone is a little bit awkward. You do
occasionally see
these leaps in Baroque music, but for the most part you want avoid
those. Leaps that are difficult
to sing may be ones that you need to avoid using in your composition.
So that's a little bit of
awkward and it should probably be revised here. This articulation, slur
two tongue two, is almost
never used in the Baroque period.
셋온음으로 올라가는 선율은 조금 부자연스럽습니다. 바로크 시대 음악에서도 가끔 셋온음이 쓰여지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셋온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래로 부르기 어려운 도약진행의 선율을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의
진행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이 부분은 수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 사용된 슬러로 이어진 두 음과 텅으로 소리내는 두 음의
아티큘레이션 패턴은 고전음악에서는 거의 쓰여지지 않는 아티큘레이션 기법입니다.
28. Notice this is repeated twice. I had trouble thinking of where I
had
seen that articulation repeated. It would make much more sense to slur
these three adjacent notes and then tongue the third. That is
a very common Baroque articulation and brings out the fact that you
have three notes that are step wise, one with a skip. Slurring steps
together and tonguing skips would be a very good idea there.
악보를 보시면 이 패턴은 두번 쓰여졌습니다. 저는 이런 아티큘레이션 패턴을 반복해서 쓰는 것을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다른
방법은 여기 세 음을 슬러로 잇고 마지막 한 음만 텅으로 소리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바로크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아티큘레이션 패턴인 동시에 세 음의 순차진행과 마지막 음에서의 도약진행을 사용한 선율의 매력을 부각시켜 줍니다. 순차진행은
슬러로 이어주고 도약진행은 텅으로 끊어서 연주하는 방법은 아주 효율적인 표현 방식입니다.
29. Now, this last measure I flagged not because it's necessarily wrong
or bad or anything like that, but actually I find it really quite
interesting and it does work quite well. Now we have a D major chord
starting in this measure here and presumably continuing on into this
fourth measure here in this example. But there's no reason why you
can't vary that a little bit.
이 마지막 마디를 살펴보는 이유는 뭐가 잘 못 되어서가 아니라 이 부분이 굉장히 흥미롭고 적절하게 쓰여졌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에서 D 메이저로 시작한 화음은 이 네번째 마디의 처음 음까지 이어집니다. 하지만 화음이 변하지 않는다고 해서 선율도 변하지
않을 이유는 없겠죠?
30. The author here has a D major implied chord on the downbeat or
perhaps the A [chord] goes there. But then has this arpeggio then
leading back to D. Actually, this works nicely. In this context the A
chord leads back to the D, this being a D7 chord which then resolves
back to the G major chord, the "I" chord. So, this is a nice idea of
some merit here. I wanted to point that out for you. OK, now on to
response number four.
이 선율을 쓴 사람은 첫 박자에 D 메이저를 암시하거나 A 메이저를 생각하고 쓴 듯 합니다. 그 후에 이렇게 아르페지오를
사용하여 D 메이저 화음으로 돌아왔는데 아주 매끄러운 진행을 구사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D7 코드를 사용하여 D 메이저 화음으로
돌아왔고 다시1도 화음인 G 메이저 화음으로 해결해 주었습니다. 선율의 진행방식이 자연스럽고 매끄러워서
여러분들과 같이 살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럼 이제 네번째 답안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31. Well here we have one of the most innovative of the responses,
certainly an adventuresome
response to this a compositional problem here. This composer took the
first measure and did
some variation on it with the lower D here. We move to the second
measure which moves nicely
with steps, trills. Notice with it being approach from above
you don't need to have the appoggiatura on this trill so leaving that
off is really a good idea.
이 답안은 가장 실험적인 답안이고 모험 정신이 강한 진행을 보여준 답안입니다. 이 작곡가는 낮은 레 음을 사용하여 첫번째
마디에서 변화를 주었습니다. 두번째 마디에서는 순차진행과 트릴을 사용하여 원활한 진행을 보여 줍니다. 여기에서 보시면 트릴로
이어지는 음이 트릴 음보다 위에 있는 음으로부터 이어지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트릴을 아포지아튜라 음으로 시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연주하시면 좋겠습니다.
32. This is quite unusual to go to the upper A (A4). If there is any
weaknesses in this ornamentation it is the fact that I usually reserve
the higher register for later in the composition rather than
introducing early on as a way to show more of a climax later. But this
is really quite expressive.
여기에 쓰여진 대로 선율이 이렇게 놓은 라 (A4) 음으로 갑자기 뛰는 것은 흔하지 않은 진행입니다. 이 답안에서 자연스럽지
않은 곡의 진행을 찾자면 이 부분을 생각해 보겠는데 그 이유는 저는 이렇게 놓은 음역대의 음들은 곡의 처음 시작에 사용하기
보다는 곡의 클라이맥스에 사용하기 위해 아껴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답안에서 보여준 높은 음역대로 점프하는 예상치 못한
진행도 굉장히 감성적인 진행이었다고 생각합니다.
33. Then we end of this last measure with a nice articulation here,
nice slurring. There's one weakness I found here. You have a lot of
eighth notes, you have a lot a motion going forward and then all of a
sudden we stop on this one beat. It's better to have longer value notes
in the beginning and as you come to the end of your segment, or the end
of phrases, or the end of the piece to make the motion move forward.
마지막 마디에서는 슬러를 사용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아티큘레이션으로 연주하며 마무리 합니다. 이 부분에서 한가지 아쉬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선율의 진행이 지금까지는 여러 8분 음표를 사용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듯한 느낌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부분에서 갑자기
음악이 멈추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제 생각에는 곡의 도입부 부분에서는 느린 음들을 사용하다가 선율의 끝 부분이나 곡의 뒤로
갈수록 음악의 흐름을 빠르게 진행하는 게 더 효과적인 음악의 진행이라고 생각합니다.
34. It seems to be a bit of an abrupt halt here, which I think with
either eighth notes are maybe two quarter notes could be very, very
easily fixed. This is a very nice response and really has a lot of
merit. OK, let's go one to response number five.
이 부분에서 갑자기 곡의 진행이 주춤하는 느낌이 드는데 그것을 완화하려면 이 부분에 8분 음표나 두개의 4분 음표를 대신 써
주면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 답안은 정말 잘 작곡했고 효과적인 진행을 보여 주었습니다. 자, 그럼 5번째 답안을 살펴
보겠습니다.
35. Here we have response number five. This does a good job of varying
with ornamentation the
given line. We've got some changes to the first measure. We then have a
repetition of the
first measure with further development. See how these two measures
naturally lead
[one from another]. The third measure here seems to harken back to our
first measure.
지금 보시는 것이 5번째 답안입니다. 이 답안은 주어진 선율을 따라 여러 장식음을 적절하게 잘 사용하였습니다. 첫번째 마디에서
변화를 주었고 두번째 마디에서는 첫번째 마디의 선율을 반복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처음 두 마디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세번째 마디는 첫번째 마디를 회상하는 듯 합니다.
36. We then have some variation and then the fourth measure has the
most complication of all. You can see how these eighth notes move
through to the last trill here. So, this is a very strong response. If
there's any weakness to this response it is the fact that all of the
ornamentation is done through arpeggios or arpeggiation.
다시 한번 변화를 준 후 가장 정교하게 짜여진 네번째 마디가 시작됩니다. 같이 보시면 여기의 8분 음표들이 효과적으로 움직여
마지막 트릴에 도달합니다. 아주 잘 짜여진 진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답안에서 조금 미흡한 점을 찾자면 모든 장식음들이
아르페지오로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37. This is fine for these four measures, but if all the ornamentation
in this movement is just arpeggiation than that will be a very, very
boring. So you do need some stepwise motion mixed in at times. But this
is a very strong of response that does
show creativity to it and would work really quite well.
지금 보신 네 마디는 훌륭한 진행이었지만 만약 전 악장을 모두 아르페지오로 진행한다면 아마도 아주 지루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따라서 아르페지오와 순차진행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답안은 아주 효과적이고 창의성을 보여준 좋은
답안이었습니다.
38. Well, I hope that this been helpful. That you can see different
ways in which you can ornament.
지금까지 장식음을 사용하는 여러가지 예를 살펴보았는데 이 설명들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9. Understand [that there] is not necessarily right or wrong
ornamentation, but there are better and there are worse solutions.
장식음 기법의 사용은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좀 더 효과적인 진행과 비효과적인 진행은 구별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40. You want to find solutions that are historically viable, are
expressive, and bring forth just the
very best of your playing in your personality.
중요한 것은 바로크 시대의 고유 연주방식을 거스르지 않으며, 감정이 담겨 있고, 또 연주 시 자신의 매력과 성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선율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장식음 사용이라고 생각합니다.
41. I hope you have enjoyed this. God bless you, bye.
이 영상을 통해 좋은 시간을 가지셨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의 이름으로 여러분을 축복합니다. 감사합니다.
<Music: “Il Sonno” from Vivaldi's bassoon
concerto "La Notte">
<음악: 비발디의 바순 협주곡 “일 소노” 중 “라
노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