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o Telemann's F Dorian (F Minor) Sonata. Terry B. Ewell presents information on the best editions, melodic and harmonic aspects of the composition, and further details on the accompaniment. Music by Terry B. Ewell, Eva Mengelkoch, and Frances Borowsky.  BDP #301. www.2reed.net.

텔레만 F 도리안 모드 (F 단조) 소나타에 대한 소개: 테리 율이 이 곡의 가장 적합한 악보 에디션과 곡의 멜로디와 화음적 요소, 그리고 반주에 얽힌 사연에 대해 강의한 내용.
연주: 테리 율, 에바 멩겔코쉬,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바순 디지털 교수 시리즈 #301. www.2reed.net.

<music: Telemann F Dorian Sonata, 3rd movement by Terry B. Ewell, bassoon, Eva Mengelkoch, harpsichord, and Frances Borowsky, cello.>

<음악: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 3악장. 테리 율, 바순, 에바 멩켈코쉬, 하프시코드,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첼로>


1.    Welcome to this series of videos on this famous work by Telemann for the bassoon. I am Terry Ewell. This video will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Sonata, which will give the context for the later videos.

1.    바순을 위한 텔레만의 유명한 작품인 이 곡에 관한 영상 시리즈를 시청해 주시는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제 이름은 테리 율입니다. 이 영상은 소나타에 관해 간단한 소개를 하고 앞으로 이어질 영상 시리즈들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입니다.

2.    Georg Philipp Telemann was a German Baroque composer, whose fame during his time was established by his musical genius as well as his work ethic. Part of the popularity of this Sonata lies not only with the quality of the composition, but also with the reputation of Telemann, who composed abundantly in every genre of music available in his day. In all it is estimated that he composed over 3,000 musical works.

2.    죠지 필립 텔레만은 바로크 시대의 독일 작곡가입니다. 그는 천재적인 음악성과 많은 작품 활동으로 명성을 떨쳤던 작곡가입니다. 이 소나타의 인기비결은 작품의 우수성 뿐만 아니라 바로크 시대의 모든 장르의 음악을 섭렵하여 작곡하던 텔레만의 명성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는 3,000 개가 넘는 곡들을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3.    We are fortunate to have three marvelous works written for the solo bassoon. Before I discuss the Sonata in more detail, I want to bring to your attention two other works that have been published just over two decades ago.

3.    솔로 바순을 위해 쓰여진 세 개의 훌륭한 작품이 있다는 것은 큰 행운입니다. 소나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전, 약 20여년 전에 출판된 두 개의 작품을 여러분께 소개하고 싶습니다.

4.    Telemann’s Sonatinas in C minor (or C Dorian) and A minor are two marvelous works that deserve just as much performance time as the F Minor Sonata. The A minor Sonatina in particular is an extraordinary composition.

4.    텔레만이 쓴 C 단조(또는 C 도리안의)와 A 단조의 두 소나티나들은 아주 훌륭한 작품으로써 F 단조 소나타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만한 작품들입니다. 특히 A 단조 소타티나는 아주 탁월한 작품입니다.

5.    The history of the two Sonatinas is quite interesting. The bassoon solo part has been available for centuries but the continuo part, the accompaniment, was lost. There are two modern printings of the works. In the Amadeus version of the piece the editor guesses on what that accompaniment might have been and unfortunately is not very successful in several places.

5.    두 소나티나의 역사는 아주 흥미롭습니다. 솔로 바순 파트는 몇 세기 동안 존재해 왔지만 콘티누오 파트, 즉 반주파트는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이 두 작품은 현대에 인쇄된 두 개의 악보가 있습니다. 아마데우스 버전은 에디터가 반주 파트를 임의로 추측해 만들었지만 안타깝게도 여러 부분에서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6.    The discovery of an old violin manuscript of the work, however, has allow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continuo part in the Schott edition. Editions of the A minor Sonatina are available on imslp.org including the discovered violin edition.

6.    하지만 바이올린 필사본의 발견은 숏 (Schott) 에디션의 콘티누오 파트의 복구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나중에 발견된 바이올린 에디션을 포함한 A 단조 소나타의 두가지 에디션은 imslp.org 웹사이트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7.    The most famous of the three solo works for bassoon is the masterpiece commonly called the Sonata in F Minor. Actually, it really should be called the Sonata in F Dorian.

7.    솔로 바순을 위한 세 가지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곡은 명작으로 알려진 F 단조 소나타입니다. 사실 이 곡은 F 도리안 소나타로 불리우는 게 맞습니다.

8.    The authoritative edition of the Sonata can be found for free on imslp.org. It is also reprinted in the Amadeus version of the work. Let’s take a look at this so that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composition.

8.    이 소나타의 권위있는 에디션은 imslp.org 사이트에서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곡은 아마데우스 버전으로도 재 인쇄 되었습니다. 그럼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악보를 같이 살펴 보겠습니다.

9.    Here is the authoritative edition of the work. You will see that it comes from the publication Der getreue Music-Meister. On page 44 of this collection of Telemann’s music, you find the solo bassoon music on the top and the continuo part on the bottom. The little squiggle marks at the end of the lines indicate where the next note is. This is a very polite way at that time of showing the next note.

9.    이것이 이 작품의 권위있는 에디션 악보입니다. 여기에서 보시듯 Der getreue Music-Meister 에서 출판되었습니다. 이 텔레만 작품 모음 중 44 페이지를 보시면 윗 부분에는 솔로 바순 악보가 있고 아래에는 콘티누오 파트가 있습니다. 줄의 끝쪽에 작게 그려진 꼬불꼬불한 모양들은 다음 음이 무엇인지 나타내 주는 표 입니다. 이것은 그 시대에서 아주 예의있게 다음 음을 보여주는 방식 입니다.
 
10.    For instance, you can see on the first line at the end a squiggle with a line through it that indicates a C above the clef, the staff, and the next note for bassoon is a C above the staff.

10.    예를 들자면, 첫번째 줄의 끝에 보이는 선이 그어져 있는 꼬불꼬불한 모양은 음자리표와 보표 위에 있는 C 음을 가리키는 것이고 바순 파트의 다음 음은 보표 위의 C 음입니다.

11.    This is a copy, not the original manuscript (I must add as well).

11.    (덧붙이자면) 이것은 복사본이고 필사본이 아닙니다.

12.    On the last page it indicates that this composition could also be played on flute.

12.    마지막 페이지에 보시면 이 작품은 플룻으로도 연주가 가능하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13.    Notice the unusual key signature. Here we have some of the flats duplicated on the staff. Reducing the duplicates leaves us with three flats, Bb, Eb, Ab. This means that the work is not in F minor or F Aeolian rather it is in F Dorian. Now, the Dorian mode is different in Telemann’s mind than minor.

13.    이 곡은 흔하지 않은 조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보시면 내림표가 도표에도 반복되어 표시되어 있습니다. 반복되어진 내림표를 제외하고 나면 Bb, Eb, Ab 이 남습니다. 이것은 이 작품이 F 단조나 F  에올리아 모드로 쓰여진 것이 아니고 F 도리안 모드로 쓰여진 것을 의미합니다. 텔레만의 음악에서 도리안 모드는 단조와 다릅니다.

14.    Compositions in the Baroque period, particularly those in the Germanic regions, didn’t fit only two categories—major and minor. Compositional choices were not just binary but could include Dorian and Aeolian modes, each of which had a different expression or compositional meaning for many composers. Employing modes instead of major and minor was common for J. S. Bach as well as Telemann.

14.    바로크 시대의 음악 작품들, 그 중에서도 특히 독일 지역의 작품들은 장조와 단조로 작곡된 두 가지 종류의 작품으로 깔끔히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작곡의 선택은 두가지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도리안이나 에올리아 모드처럼 많은 작곡가들에게 새로운 표현 방식이나 작품의 의미를 가져다 주는 모드들의 사용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요한 세바스챤 바하나 텔레만에게는 장조나 단조의 사용 대신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습니다.

15. The monograph by Joel Lester, Between Modes and Keys: German Theory 1592-1802, brilliantly explains the mindset of Germanic composers.
In it he states:
15.    조엘 레스터의 논문인, 모드와 조성의 사이: 독일 이론 1952-1802 에서는 독일 작곡가들의 사고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탁월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16.    “As late as the generation of Haydn and Mozart, German theorists of the stature of Kirnberger were still insisting 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of the modes for composers and performers alike.”

16.    조엘 레스터는 “하이든과 모짜르트의 시대때까지도 컨벌걸 (Kirnberger)처럼 권위있는 독일의 음악 이론가들은 작곡가들과 연주자들이 모드에 관한 지식을 겸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라고 설명합니다.

17.    Well, I don’t understand what the full meaning a particular mode would have meant for Telemann. Perhaps each mode expressed a certain sentiment for him. But I have several ideas of why Telemann chose the Dorian mode rather than the Aeolian mode in this composition. This is an absolutely seminal decision that influences the composition on several levels. Let me explain this to you.

17.    물론 저도 텔레만에게 특정한 모드가 어떤 의미를 나타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어쩌면 각각의 모드가 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텔레만이 왜 에올리아 모드 대신 도리안 모드를 썼는지 제 나름대로 몇가지 추측해 본 바가 있습니다. 이것은 작품의 여러 범위에 영향을 끼친 아주 중요한 결정이었습니다. 이것에 대해 이제 설명해 보겠습니다.

18.    The Dorian mode with three flats has a D natural in the scale. This differs from the Aeolian mode, with four flats, that has a Db as part of the scale. The Aeolian mode became the standard way to express the minor key in the Baroque period and later. A Db in the Aeolian mode is part of the scale collection and thus has no constraints for resolution. That scale member could move upward or downward.

18.    세 개의 내림표를 내포한 도리안 모드는 스케일에 D 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스케일에 Db음을 가지고 있는 네 개의 내림표를 쓰는 에올리아 모드와 완전히 다릅니다. 에올리아 모드는 바로크 시대와 후세대에서 단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모드로 쓰였습니다. 에올리아 모드에서 Db은 스케일에 포함되어 있는 음이기 때문에 화음적으로 해결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스케일 음은 아래나 위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19.    Notice, however, that when a Db is introduced into a Dorian scale, it must be expressed with an accidental. The accidental is an alert to both the composer and the performer that something is different, and this note needs to be treated with special care. This special treatment of Db and in particular the downward movement after the note i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first movement.

19.    하지만 Db이 도리안 모드에서 쓰여지면 반드시 임시표가 기재되어야 합니다. 임시표는 작곡가와 연주자 모두에게 무엇인가 다른 음이 쓰여졌다는 표시이고 이 음이 특별히 다뤄져야 한다는 표시이기도 합니다. Db 의 특별함과 특히 음 사용 후 아래로 움직이는 진행은 첫번째 악장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20.    Here is the first page as given in the authoritative edition. Notice that I put red lines over those notes where that Db in the first movement resolves downward. This is a very important and prominent feature in the first movement.

20.    이것은 권위있는 에디션의 첫번째 페이지입니다. 첫번째 악장에서 Db 이 아래 음으로 해결되며 진행되는 음들을 빨간 줄로 표시했습니다. 이것은 첫번째 악장에서 아주 중요하고 두드러지는 특징입니다.

21.    Any accidental in the music during the Baroque period not only draws the attention of the eye, but also triggers the mind to look for how this out-of-key-note will be resolved. Here the half step resolution downward is required and appears frequently in the movement.

21.    바로크 시대에서 내림표는 시각적인 집중 뿐 아니라 조표에 어긋나는 이 음이 어떻게 해결될 지를 관찰할 수 있게 생각의 방아쇠를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서 반음이 내려가며 해결되는 진행은 필수적이고 이 악장에서 자주 반복됩니다.

22.    Furthermore, in this composition the use of the Dorian mode restricts harmonic choices in the composition. In typical minor compositions the work often features a movement in the relative major of the key. For instance, an A minor composition will have a C major movement. This is not the case with Telemann’s F Dorian Sonata. The third movement features the dominant, C minor, rather than the relative major key, Ab major.

22.    또한, 이 작품에서 도리안 모드의 사용은 화음의 진행을 결정하는데 제한성을 제시합니다. 보통 단조로 쓰여진 작품에서는 곡 중 한 악장은 병행 장조로 쓰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A 단조의 작품이라면 C 장조로 쓰여진 악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는 다릅니다. 3악장에서는 병행 장조인 Ab을 사용하지 않고 도미넌트인 C 단조를 사용하였습니다.

23.    The third movement is unusually because there is a play between E flat and E natural. The E flat fits the Dorian mode. However, the E natural allows for the C chord to be the dominant of F.

23.    3악장이 특이한 점은 Eb과 E 내추럴 사이의 음악적 놀이가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Eb 은 도리안 모드에 맞지만 E 내추럴은 C 코드가 F 의 도미넌트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24.    Now, the F Dorian Sonata is not the only work where Telemann makes use of modes. For instance, Telemann’s Zwanzig kleine Fugen [Twenty Small Fugues] presents carefully crafted modal compositions evidenced by his tables in the preface.

24.    텔레만이F 도리안 소나타에서만 모드를 사용한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자면 텔레만의 Zwanzig kleine Fugen [20개의 작은 푸가] 은 텔레만이 서문의 도표에서 보여준 것처럼 정교하게 짜여진 모드를 사용한 작품입니다.

25.    So, when Telemann chose the Dorian mode in this composition, it was not just a haphazard selection.  The Dorian mode imposes relationships with the composition’s melody and harmonies. Well, let’s move on.

25.    그렇기 때문에 텔레만이 이 작품에서 도리안 모드를 사용한 것은 의도치 않았지만 어쩌다 나온 결과가 아닙니다. 도리안 모드는 곡의 멜로디와 화음의 여러 관계를 주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6.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most Baroque Sonatas are two-part compositions. They have one melody in the treble (or bass) clef and one melody in the bass clef. This is quite different than most compositions in th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26.    대부분의 바로크 소나타는 두 파트로 나뉘어 쓰여진 작품이고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나의 멜로디가 높은 (또는 낮은) 음자리표로 쓰여져 있고 또 하나의 멜로디가 낮은 음자리표로 쓰여져 있습니다. 이 형식은 고전시대나 낭만시대의 작품들과 아주 큰 차이가 있습니다.

27.    You can see the two melodies quite clearly in the second movement. The movement starts with a clear melody in the bassoon. There is a supporting melody, which looks more like a harmonic part in the bass. You can see that the bass line picks up that melody during the time that the bassoon is resting.

27.    2악장에서는 이런 두개의 멜로디를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2악장은 바순의 멜로디로 시작을 합니다. 베이스 파트에서는 화음진행에 가까워 보이는 보조 멜로디가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바순이 쉬는 구간에서는 기존의 멜로디를 베이스 라인이 전달 받아 이어갑니다.

28.    It is extremely important that performers realize that Baroque chamber compositions are really conversations between equal partners. Yes, the bass part has the responsibility of anchoring the harmony, but unlike most bass parts in Classical and Romantic music, these lower lines are really melodies as well. For this reason, many of the Baroque Sonatas make excellent duets.

28.    연주자들이 바로크 실내악 작품들은 동등한 악기 파트너들 사이의 대화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베이스 파트가 화음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는 것은 맞지만 고전시대나 낭만시대의 작품들 중 베이스 파트들의 역할과 비교해 볼 때 바로크 시대의 베이스 파트들은 또 하나의 멜로디로써 역할을 하는 것이 분명해 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바로크 소나타 작품들은 아주 훌륭한 2중주 곡입니다.

29.    The lower line is called the continuo part. The lower line should be performed by two instruments not just one. The bass line could be played with a cello or bassoon. In addition, the left hand of the harpsichord player or sometimes organ player would double this bass line providing even more volume and balance to the solo part.

29.    저음 파트는 콘티누오 파트라고 불립니다. 저음 파트는 한 악기로 연주되는 것이 아니고 두 악기로 연주 됩니다. 저음 파트는 첼로나 바순으로 연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프시코드 연주자나 오르간 연주자가 왼손으로 저음 파트를 이중으로 연주해서 솔로 파트를 위해 소리의 크기와 균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0.    The numbers given in the music provide guidance on the harmonies to be played. In a sense, Baroque music has more in common with Jazz than Classical music. All the notes performed are not printed in Baroque music. It is a bit like a chart in Jazz in which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ians would add their personal touch with improvisation.

30.    악보에 적힌 숫자는 연주되어야 할 화음의 방향을 제시하여 줍니다. 어떤 면에서는 바로크 음악은 클래식 음악보다 재즈 음악과 유사한 점이 더 많습니다. 바로크 음악에서는 연주되어야 할 음들이 악보에 모두 적혀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재즈 음악에서 차트를 사용하여 연주자들이 자신의 개성에 따라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31.    The numbers would be realized or expressed with the right of the harpsichord player. Players at that time created new accompaniments in the right hand at each reading.

31.    악보에 적힌 숫자는 하프시코드 연주자의 오른손으로 풀이되고 연주됩니다. 당시의 연주자들은 매번 다른 반주를 즉흥적으로 만들어 연주하였습니다.

32.    Well, now that you have a brief overview of the composition it is now time for you to understand common mistakes that occur in performances of the work. Please see the next video.

32.    지금까지 텔레만의 작품에 대해 짧게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제 곡의 연주 시 범하기 쉬운 실수들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다음 영상을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music: Telemann F Dorian Sonata, 4th movement by Terry B. Ewell, bassoon, Eva Mengelkoch, harpsichord, and Frances Borowsky, cello.>

<음악: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 4악장.
연주자: 테리 율, 바순, 에바 멩겔코쉬, 하프시코드,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