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itions and ornamentation in Telemann's F Dorian (F Minor) Sonata. Terry B. Ewell discusses the addition of dynamics, articulations, and ornaments. Music by Terry B. Ewell, Eva Mengelkoch, and Frances Borowsky. Translated by Hyunji Choi.  BDP #303. www.2reed.net.

텔레만 F 도리안 (F 단조) 소타나의 추가적인 음악적 표현과 꾸밈음
테리 율이 셈여림표, 아티률레이션, 그리고 꾸밈음 사용에 대해 강의한 내용
연주: 테리 율, 에바 멩겔코쉬,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번역: 최현지
바순 디지털 교수 시리즈 #303


<music: Telemann F Dorian Sonata, 3rd movement by Terry B. Ewell, bassoon, Eva Mengelkoch, harpsichord, and Frances Borowsky, cello.>

<음악: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 3 악장. 테리 율, 바순, 에바 멩겔코쉬, 하프시코드,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첼로>

1.    In this video I will provide an overview of ornamentation in the solo part for the Telemann F Dorian Sonata. Then I will conclude with information on resources that I have prepared for you to better understand and perform Baroque music.

-    이번 영상에서는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의 솔로 파트의 꾸밈음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또한 바로크 음악과 그 시대의 연주 기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가 준비한 여러 참고 자료를 소개함으로 영상을 마칠 것입니다.

2.    The starting point, of course, for ornamenting the Sonata is with the authoritative edition of the work. You can see here that the solo part is quite sparse. Few dynamics, slurs, and articulations are given. In addition, ornaments need to be added in required locations as well as optional locations. Let’s take each of these issues one by one.

-    소나타에 사용할 꾸밈음 기법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출발점은 권위있는 악보를 살펴 보는 것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보실 수 있듯이 솔로 파트 악보는 굉장히 간결합니다. 약간의 셈여림표, 슬러, 그리고 아티큘레이션만 적혀 있습니다. 여기에 필수적으로 꾸밈음이 꼭 필요한 장소와 선택적으로 꾸밈음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적절한 꾸밈음들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해서 이제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3.    Baroque music features two dynamic markings: piano and forte. If you ever see an edition of Baroque music with pp, mp, or mf you know immediately that this edition includes many markings not given by the composer. However, as a performer you might want to play these dynamics in your performance. In general, however, contrast been quiet and loud, piano and forte will work well.
-    바로크 음악에서는 포르테와 피아노, 이렇게 두가지의 셈여림표가 쓰여집니다. 여러분들이 바로크 음악 악보 중 피아니시모, 메조 피아노, 또는 메조 포르테와 같은 셈여림표가 쓰여진 악보를 보신 적이 있으시다면 그 에디션 악보는 작곡가가 직접 쓰지 않은 셈여림표를 에디터가 많이 추가했구나 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물론 연주자들이 연주 시 다양한 셈여림표를 사용해 연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포르테와 피아노, 즉 강하게 또는 여리게 음악을 연주하는 것으로 음악을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4.    In my performance of the first movement, for instance, I add these dynamics which appear in red. Telemann provides a good example for how to make use of dynamics in the first three measures. The echo dynamic, piano, in the second measure is a common way to add interest in Baroque music. The first statement in measure 1 is loud and the second statement is quiet. I use that idea for the dynamics in measures 11-12, forte, and then the echo in measures 13 and 14. Also, later in the movement measures 27-28 are an echo to measures 25 and 26.

-    제가 1악장을 연주할 때 저는 이렇게 빨간색으로 표기된 셈여림표들을 사용합니다. 텔레만은 이 곡의 처음 세 마디에서 이 곡을 연주할 때 어떻게 셈여림표를 사용해야 하는지 좋은 예를 우리에게 보여 줍니다. 두번째 마디에서 쓰여진 메아리처럼 사용된 피아노 셈여림표는 바로크 음악에서 음악에 흥미를 더하기 위해 자주 쓰여집니다. 첫번째 마디에서 쓰여진 첫번째 주제는 강하게 연주되고 두번째 주제는 여리게 연주됩니다. 저는 같은 방법으로 11 마디와 12 마디는 크게 연주하고 13 마디와 14 마디는 메아리처럼 연주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27 마디와 28 마디도 25 마디와 26 마디의 메아리처럼 연주합니다.

5.    You might also make use of dynamics to provide contrast between movements. Although Telemann gives no dynamics for the third movement it is appropriate to perform this movement more quietly than the fourth movement.

-    또한 여러분들은 셈여림표를 사용하여 각 악장마다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텔레만은 3악장에서 아무 셈여림표도 표기하지 않았지만 3악장을 4악장보다 전체적으로 작게 연주하는 것은 적절한 연주 방법입니다.

6.    Be aware that crescendos and diminuendos on the whole were not employed much in Baroque music. The Mannheim School of composers and musicians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developed innovations including the use of a group crescendo. This was not, however, common in the Baroque period and in fact the principal keyboard instrument of the time, the harpsichord, could not crescendo or diminuendo.

-    바로크 음악에서는 크레센도나 디미뉴엔도가 대체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8세기 후반에 맨하임 스쿨의 작곡가들과 음악가들은 그룹 크레센도와 같은 새로운 연주 기법들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법들은 바로크 시대에 일반적으로 쓰여지지 않았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건반 악기인 하프시코드의 경우 크레센도나 디미뉴엔도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악기인 것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7.    Dynamics tended to be terraced or in steps. My suggestion is to make use of crescendos sparingly and mostly feature diminuendos at the ends of phrases or movements.

-  셈여림표는 보통 계단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제가 추천드리기는 연주 시 크레센도는 아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디미뉴엔도는 대체적으로 한 소절의 끝이나 악장의 끝에서만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8.    The one important exception, however, is messa di voce. This is a crescendo and diminuendo over a single held note. Appropriate places for this are given in the green boxes on the first line. The B flat 3 in measures 3 and 4 is a dissonance by Baroque standards. It is a sustained note that can be highlighted with this dynamic and then resolved downwards.

-    한가지 중요한 예외는 메사 디 보체의 사용입니다. 메사 디 보체는 한 음을 길게 끌어 유지하며 크레센도와 디미뉴엔도를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의 적절한 사용 장소는 악보에서 첫 줄의 초록 박스로 표시하였습니다. 3번째 마디와 4번째 마디의 B-flat 은 바로크 음악의 기준으로 볼 때 불협화음입니다. 그래서 이 음을 메사 디 보체 기법을 사용하여 길게 끌며 강조해 주었다가 한 음 아래로 해결해 주는 것입니다.

9.    The D flat 4 in measure 7 and 8 is non-scale note in the Dorian mode mentioned in the first video in this series. The accidental indicates that it is not part of the scale collection and like the earlier B flat 3 it should be featured in a special way and then resolved.

-    텔레만 시리즈의 첫번째 영상에서 언급되었듯이 7번째 마디와 8번째 마디에 사용된 D-flat 도 F 도리안 모드 스케일 안에 포함된 음이 아닙니다. 악보에 표기된 임시표는 이 음이 스케일 안에 포함된 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는 표시이며 아까 B-flat 에서 그랬던 것처럼 특별히 강조해서 표현해 준 후 불협화음이 해결되게 연주해 주어야 합니다.

<music: first movement, Telemann Sonata>
<음악: 텔레만 소나타, 1 악장>
10.    Composers of Baroque music generally allowed the musicians to put in slurs as needed. Since some music such as this Sonata was performed by different instruments it makes sense for musicians to determine what will work best. The slurs that I use for this Telemann Sonata might not work as well on the flute, for instance.

-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은 대부분의 경우 연주자들이 필요에 따라 슬러를 추가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이 소나타와 마찬가지로 다른 음악들도 한 악기가 아닌 여러 악기들에 의해 연주될 때가 많기 때문에 연주자들이 자신의 악기에 가장 적합한 연주 기법을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하는 것은 합당한 방법입니다. 이 텔레만 소나타에서 제가 사용하는 슬러를 다른 악기, 예를 들어 플룻에 사용하면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1.    In general, I place more slurs in slower movements than faster movements. This better expresses the lyrical feelings of the slower movements.

-    저는 대체적으로 빠른 악장을 연주할 때 보다 느린 악장을 연주할 때 슬러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것은 서정적인 곡의 분위기를 더욱 잘 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12.    Different slurs and articulations can also be a way to vary the music and keep interest. For instance, in the opening of the second movement I vary the slurring of the repeated figure. The first time I give no slurs, but the second time I add slurs.

-    여러 슬러나 아티큘레이션의 사용은 음악에 다양성을 나타내고 흥미를 돋우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2악장의 처음 시작에서 저는 반복되는 구간의 슬러를 조금씩 바꾸어 표현합니다. 처음에는 슬러가 없이 연주하고 두번째는 슬러를 추가해 연주합니다.

13.    Later in the second movement the green box highlights music that I perform in two different ways. The first time I perform it with slurs. The second time I perform it with staccato notes.

-    2악장의 나중 부분에서 제가 두 가지의 방법으로 연주하는 구간이 초록색 박스로 강조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슬러를 추가해 연주하고 두번째는 스타카토 기법을 사용하여 연주합니다.

<music: second movement, Telemann Sonata>
14.    John Miller’s lecture on the Mozart Bassoon Concerto contains important ideas about articul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elemann’s works as well. John Miller, a famous USA bassoonist, has provided great service to the profession with his lectures, articles, and performance editions.

-    존 밀러가 모짜르트 바순 협주곡에 대해 강의한 내용은 아티큘레이션 기법에 관한 아주 중요한 정보로써 텔레만 소나타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존 밀러는 미국의 저명한 바순 연주자이며 그의 강의와 논문들, 그리고 그가 편집한 연주악보들은 연주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15.    Slurs can also facilitate technical passages. In measure 35 and later it makes sense to slur the adjacent 16th notes rather than tongue all the notes. Also, be aware that in Baroque practice it is more common to slur adjacent notes rather than leaps.

-    슬러의 사용은 테크닉적으로 어려운 부분의 곡을 조금 더 원활하게 표현하게 도와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35 마디부터 이어지는 부분의 16분 음표 음들을 하나하나 다 텅 기법으로 연주하는 것 보다 슬러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바로크 시대에서는 건너 뛰는 음을 슬러로 잇는 것보다 옆에 음을 슬러로 이어서 연주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 연주 방법입니다.

16.    Last of all, is something to consider that cannot be notated. Baroque performance practice includes a greater variety of articulations than common for later periods of music. Treatises of that period discuss different types of tonguing strokes. The harpsichord itself allows for little variety apart from note lengths and timings and so great players of this instrument are quite sophisticated with their articulations.

-    마지막으로 다루고 싶은 내용은 악보에는 표기할 수 없는 세미한 아티큘레이션의 변화입니다. 바로크 시대의 연주 기법은 후대 시대에 일반적으로 쓰여졌던 연주 기법들에 비해 다양한 아티률레이션을 사용하였습니다. 바로크 시대에 쓰여졌던 여러 음악 논문들은 다양한 방법의 텅잉 기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하프시코드의 경우에도 악기의 특성상 음의 길이나 연주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 외에는 연주에서 많은 변화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하프시코드 전문 연주자들은 노련한 아티큘레이션 사용을 익혀 구사합니다.

17.    My article “A Bassoonist's Expansions upon Marcel Tabuteau's ‘Drive’” hints at this when I discuss varied note lengths in a passage of Vivaldi’s A minor Concerto. The figure indicates note lengths with numbers. The higher the number the longer the note. So, numbers 5 are played the longest and numbers 1 are the shortest.

-    저의 논술 “마쓸 타부토의 ‘드라이브’ 에 기반한 바순 연주자의 확장 연구” 에서 저는 비발디의 A 단조 협주곡의 한 소절을 예를 들어 다양한 음의 길이에 대해 설명하며 이 주제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여기서 숫자는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숫자가 클수록 음의 길이가 긴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숫자 5 는 가장 길게 연주하고 숫자 1 은 가장 짧게 연주하는 것입니다.

18.    These subtle changes in note lengths allow the performer to emphasize certain notes above others and shape the musical line in different ways. The longer numbers provide for notes that receive more emphasis.

-    이렇게 세밀하게 음의 길이에 변화를 주는 연주 기법은  연주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특정 음들을 강조하거나 음악의 흐름에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숫자가 높은 음들일수록 음악적으로 강조가 되는 것입니다.

19.    There are certain ornaments that are required in Baroque music that are often not in original manuscripts. These ornaments were so common that the composer didn’t bother to waste the ink. Everyone at that time knew that they had to be included. We find examples of this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Sonata. Trills are required at the ends of sections and movements. Thus, trills are needed in measures 18, 33, and 37.

-    바로크 음악에서는 비록 작곡가의 친필 악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연주 시 필수적으로 추가되어야 할 꾸밈음들이 있습니다. 이 꾸밈음들은 당시에 너무나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졌기 때문에 작곡가들이 잉크를 낭비하며 악보에 기재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모든 연주자들은 말하지 않아도 이 꾸밈음들이 연주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예를 소나타의 1 악장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한 섹션의 끝과 한 악장의 끝에는 트릴의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18 마디, 33 마디, 그리고 37 마디에서는 트릴의 사용이 꼭 필요합니다.

20.    Now we get to the most interesting part of performing Baroque music. Florid ornamentation or diminution was a craft practiced by all musicians at the time the Sonata was written. I will not spend time here on ornamentation because I have already addressed the subject in five other videos. Please do have a look at these and the Baroque music resource page on 2reed.net.

-    이제 바로크 음악을 연주할 때 가장 재미있는 부분에 대해 다뤄 볼 차례입니다. 이 소나타가 쓰여졌을 당시에 현란한 꾸밈음이나 디미뉴션 (긴 음을 분할하여 연주하는 것) 은 모든 음악가들이 사용하던 연주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전의 5개의 영상에서 꾸밈음에 대해서 많이 다뤘기 때문에 지금 영상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지만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2reed.net 웹사이트를 방문하셔서 바로크 음악 자료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    Please also consider John Miller’s edition of the Sonata. In it Mr. Miller gives his suggested ornamentation as well as the original version of the passage. 

-    존 밀러가 편집한 소나타 악보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악보에서 존 밀러는 원곡의 악보와 함께 자신이 연주하는 꾸밈음들도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22.    Also, I provide my performance edition to the last two movements that accompany the last video in this series.

-    텔레만 시리즈의 마지막 영상과 같이 소개되는 소나타의 마지막 두 악장에서는 저의 연주 악보 에디션이 같이 제공됩니다.

23.    Well, I hope that these comments are helpful to you. In the next video we will conclude our discussion of ornamentation by looking at cadenzas and what I am calling “flourishes,” which are virtuosic passages. Also, the importance of tempo relationships between the movements will be considered.

-    이제까지 저의 설명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카덴자와 제가 “플로뤼시스” 라고 부르는 곡 중 화려하고 현란한 구간들을 살펴 보며 꾸밈음 기법에 대한 마지막 강의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또한 각 악장 간의 중요한 관계를 형성하는 템포에 관해서도 다루려고 합니다.

<music: Telemann F Dorian Sonata, 4th movement by Terry B. Ewell, bassoon, Eva Mengelkoch, harpsichord, and Frances Borowsky, cello.>

<음악: 텔레만 F 도리안 소나타, 4악장. 테리 율, 바순, 에바 멩겔코쉬, 하프시코드, 프랜시스 보로우스키, 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