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ius Weissenborn’s Two Pieces: Arioso and Humoresque. Terry B. Ewell provides performance and practice suggestions with an introduction to the performance of Romantic music. BDP #315, 2reed.net.

율리우스 바이즌본의 두개의 곡: 아리오소와 유모레스크
테리 율이 낭민주의 시대의 곡들의 연주와 연습 방법에 대해 소개한 영상
최현지, 번역
바순 디지털 교수 시리즈 #315
 
[Music: Weissenborn Humoresque]
[음악: 바이슨본의 유모레스크]
 
1. Welcome to this discussion of two little compositions by Julius Weissenborn. I am Terry Ewell.
율리우스 바이즌본이 쓴 두개의 소품곡에 대한 영상을 찾아 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제 이름은 테리 율입니다.

2. When you perform music,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period the music is from because this will influence how you perform the work. For instance, compositions from the Baroque period are performed quite differently from those from the Romantic period.
곡을 연주할 때에는 그 곡이 어느 시대에 쓰여진 곡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데 그것은 연주자가 곡을 해석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고전시대의 곡의 연주는 낭만시대에 쓰여진 곡과 연주 스타일이 아주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3. These two pieces are from the Romantic period and provide excellent examples for how to approach that style of music. Music from the Romantic period is characterized by open displays of emotion. The emotions are expressed with dynamics, changes of tempos, and phrasing of melodies.
제가 소개해 드리는 이 두 곡은 낭만시대에 쓰여진 곡으로써 이 시대의 곡들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공부하는데 아주 좋은 예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낭만시대의 곡들은 절제 없이 맘껏 드러내는 감정의 표현이 특징적입니다. 그리고 이 감정들은 셈여림표(다이나믹)나 템포의 변화, 또한 악절 연주 방법 등으로 표현됩니다.

4. Let’s see how these romantic tendencies are expressed in the Arioso. Weissenborn’s choice of the title “Arioso” is a reference to song in opera. So, this must be quite lyrical and perhaps you can even picture yourself using the bassoon as your voice. You will need to phrase the melody to climaxes or important arrival points.
그러면 이 아리오소라는 곡에서 이런 낭만적 감정들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바이즌본이 선택한 “아리오소”라는 제목은 오페라의 노래들 중 하나입니다. 제목이 말해 주듯이 이 곡은 굉장히 서정적이고 연주할 때 바순을 사람의 목소리로 노래하듯이 상상하며 연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멜로디를 연주할 때 클라이맥스나 악절의 절정 도달 지점을 잘 살려서 멜로디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Musical phrases usually feature first crescendos to the musical goals and then decrescendos away from them. Determining the climax of each gesture or phrase is not always easy, but there are some common tendencies you can keep in mind:
음악적 악절 (프레이즈)은 보통 첫번째 크레센도를 통해 멜로디의 정점에 도달한 후 점점 디크레센도로 작아지는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각 악절이나 프레이즈의 클라이맥스를 결정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니지만 자주 쓰여지는 형태를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6. In phrases or gestures, climaxes usually occur:
1) halfway or later (often later);
2) on stressed beats, usually down beats;
3) sometimes they are given with an appoggiatura.

악절이나 음악적 제스처에서 클라이맥스로 자주 쓰여지는 부분은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1)    멜로디의 중간이나 뒷 부분 (많은 경우 뒷 부분에 나타납니다)
2)    강한 박자 또는 마디의 첫 박자에서 나타납니다.
3)    앞꾸밈음으로 표현됩니다.

7. In addition, the shorter value notes move to longer value notes. Think of little children being attracted to their parents. Consider that notes are not orphans, rather they are families.
또한 빠른 음들이 느린 음들에게로 이동하듯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마치 어린 자녀들이 부모님에게로 이끌리어 가듯 말입니다. 여러 음들을 따로 서 있는 아이가 아닌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8. The printed music edited by Bernard Garfield provides contradictory indications for phrasing. The dynamics given for the first two gestures do not agree with those in the second two gestures. For the reasons I just gave, I prefer the crescendos in different places.
버나드 가필드가 편집한 악보를 보면 악절에서 상반되는 표시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두 악절에서 표기된 셈여림표는 두번째로 나오는 두 악절에 표기된 셈여림표와 다릅니다. 이런 이유로 저는 크레센도를 다른 곳에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Music]
[음악]

9. Here we have the crescendos that I prefer. You can see that they follow in parallel with the crescendos of the third and fourth phrases. These crescendos feature climaxes on the downbeats. There is even a downbeat down here. This phrasing also features appoggiaturas. Here is the appoggiatura in the second gesture. Here is the appoggiatura in the fourth gesture.
이것은 제가 선호하는 크레센도 사용 구간입니다. 보실 수 있듯이 세번째와 네번째 악절에 표현된 크레센도와 일치한 위치에 있습니다. 이 크레센도들은 마디의 첫 박자에 클라이맥스에 다다릅니다. 여기 이 마디도 첫 박자에 이렇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악절은 앞꾸밈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네번째 악절에 나오는 앞꾸밈음입니다.

10. An appoggiatura is a dissonance, a non-chord tone on the downbeat that most often resolves downward. Now, this is an extremely important gesture in Common Practice music. That is music from the Baroque period (and later) and frankly even into the 20th century. This is one of the most expressive devices and one that you need to master if you are going to understand phrasing and musicality.
앞꾸밈음은 마디의 첫 박자에 자주 사용되는 불협화음으로 2도 아래의 해결음으로 이어지며 진행됩니다. 이 화음의 진행은 우리가 대체적으로 서양 클래식 음악이라고 일컫는 음악에서 자주 쓰여지는 중요한 진행입니다. 우리가 보통 서양 클래식 음악이라고 일컫는 음악은 고전시대부터 시작하여 20세기 이전의 여러 시대들에 쓰여진 음악들을 포함하고 있고, 어쩌면 20세기에 쓰여진  음악들까지도 일부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꾸밈음은 호소력 있는 음악적 기법 중 하나이며 연주자로서 악절과 음악의 원활한 표현을 위해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 연주 기법 중 하나입니다.

11. Here is an example of the little notes going to the bigger notes. Again, this is one of the tendencies in music that we often see. Musicality is usually expressed in this way.
여기에서는 아까 언급했듯이 작은 음들이 큰 음으로 이동하는 듯이 쓰여진 악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진행은 음악에서 여러 형태로 자주 쓰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선율의 아름다움이 이런 형태로 표현될 때가 많이 있습니다.

12. Here is the music again for you to study.
그럼 다시 한번 악보와 음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music—opening of Arioso]
[음악- 아리오소 처음 부분]

13. Although the Humoresque is not as serious in nature as the Arioso, it is still quite Romantic in style. This composition features flexible tempos. You can also use a bit of rubato to show phrases and gestures as well.
유모레스크는 아리오소처럼 진지한 분위기의 곡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주 낭만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곡은 유연한 템포를 가지고 연주해야 하며 악절이나 음악적 제스처를 잘 살리기 위해서 루바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4. For instance, in the first measures of the work it would be appropriate to push forward the tempo slightly in the first two measures and then relax it in the third. “Commodo” means motion, to move, so do not feature static tempos in this piece.
예를 들자면, 곡의 처음 두 마디는 곡의 템포를 약간 앞으로 끌고 가듯 당겨서 연주하다가 세번째 마디에서 긴장을 풀어 주듯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코모도” 의 뜻은 모션, 또는 움직임이라는 뜻으로 이 곡을 연주할 때 고정된 듯 너무 정적인 템포로 연주하지 말아야 합니다.

[music-opening of Humoresque]
[음악- 유모레스크 처음 부분]

15. The animato section starting in m. 17 features tempo variations. The term animato, which means animated, indicates more life and a faster tempo. Later the ritenuto returns the tempo back to the opening speed. Ritenuto means to slow down. Tempo 1, of course, means to start at the same tempo as the opening of the Humoresque.
17마디에서 시작하는 아니마토 섹션은 템포의 변화를 보여 줍니다. “아니마토” 의 뜻은 생기가 있다는 뜻으로 조금 더 빠르고 생동감 있는 템포를 요구하는 용어입니다. 나중에 표기된 리테누토는 템포를 곡 처음 부분에서 쓰여진 시작 템포로 돌아가게 해 줍니다. “리테누토” 의 뜻은 앞부분의 속도보다 느리게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템포 1” 은 유모레스크의 처음 시작 속도와 같은 속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music—later portion of Humoresque]
유모레스크 뒷 부분]

16. Communication with your accompanist is important in all of these tempo changes. Be sure that you and your accompanist can communicate by gestures to each other while playing the music.
여러 템포 변화를 표현하는데 있어 반주자와의 소통은 아주 중요합니다. 연주시 연주자와 반주자가 서로의 제스처나 몸짓을 통해 서로와 소통할 수 있도록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17. Well, I hope that you enjoy these two little compositions and now you can perform them with confidence! Bye.
여러분들은 지금까지 소개해 드린 이 두 곡이 어떠셨나요? 이 영상을 통해 이 곡들을 좋아해 주셨으면 좋겠고 여러분이 이 곡들을 자신있게 연주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Music: Weissenborn Humoresque]
[음악: 바이즌본의 유모레스크]